종합엔터

페이크 다큐, B급 감성의 대표 예능

테크저널 2025. 2. 16. 11:44

페이크 다큐(Fake Documentary, Mockumentary) 형식의 예능은 다큐멘터리처럼 보이지만 가짜 설정과 연출이 들어간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.
반응형

 페이크 다큐 예능의 특징

✔ 다큐멘터리처럼 연출되지만, 전부 가짜

✔ 출연진이 진지하게 연기하면서도 상황 자체가 웃김

✔ 기존 방송 시스템이나 사회를 풍자하는 경우가 많음

✔ B급 감성을 강조하거나, 실제 다큐처럼 고퀄리티 연출을 하기도 함
320x100

국내 페이크 다큐 예능

 

📺 음악의 신 (Mnet, 2012 / 2016)

 

 

▪️이상민이 망한 프로듀서에서 다시 부활하려는 과정을 페이크 다큐 형식으로 연출.


▪️기획사 운영의 현실을 과장되게 풍자하면서, 이상민이 망해가는 과정을 보여줌.


▪️Mnet의 B급 감성을 대표하는 레전드 예능!

 

 

📺 방송의 적 (Mnet, 2013)

 

 

▪️기존 방송국 시스템을 비꼬는 예능


▪️가짜 방송국을 만들어 실제 방송처럼 연출하지만, 내용은 완전히 병맛


▪️이적, 존박 출연 → 음악 산업을 풍자

 

 

📺 UV 신드롬 (Mnet, 2011)

 

 

▪️진짜인지 가짜인지 헷갈리게 만드는 설정이 핵심개그 듀오 UV(유세윤, 뮤지)의 성공 과정을 다룬 가짜 다큐


▪️마치 실제 다큐처럼 보이지만 유세윤 특유의 병맛 개그가 특징


▪️"우린 시대를 앞서간 천재다!" 같은 과한 허세 설정이 웃음 포인트

 

해외 페이크 다큐 예능

 

📺 더 오피스 (미국, 2005~2013)

 

 

▪️회사 생활을 다룬 다큐멘터리처럼 보이지만, 모든 장면이 연출된 코미디


▪️직장인의 일상을 현실감 있게 비틀면서도 웃긴 장면이 많음

 

 

📺 팍스 앤 레크리에이션 (미국, 2009~2015)

 

 

▪️지방 공무원들이 일하는 모습을 보여주는 다큐처럼 보이지만, 완전 코미디


▪️정치 풍자 + 인간미 넘치는 캐릭터들이 매력적

 

 

📺 보랏 (Borat, 2006 & 2020)

 

 

▪️카자흐스탄 기자(설정)가 미국을 여행하는 다큐멘터리처럼 보이지만 전부 연출된 코미디


▪️사회 풍자 + 어이없는 상황이 계속 발생하는 B급 감성의 정점

 

 

📺 앵커맨: 전설의 시작 (Anchorman, 2004)

 

 

▪️1970년대 뉴스 방송을 패러디한 가짜 다큐멘터리


▪️뉴스 제작 과정과 방송국 문화를 병맛스럽게 풍자

 

 

📺 모던 패밀리 (Modern Family, 2009~2020, 미국)

 

 

▪️가족들의 일상을 기록하는 다큐처럼 보이지만, 모든 게 연출된 페이크 다큐


▪️가족 드라마 + B급 감성 개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