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"한자의 성(性)과 성씨(姓)"라고 보면 돼요. 한자는 부수라는 공통된 "핵심 구성요소"를 가지고 있어요. 이 부수가 한자의 의미나 종류를 대략 알려주는 단서예요.✅ 한자의 ‘의미’ 범주를 알려줘요 ▪️부수를 보면 "이건 물과 관련된 거구나", "이건 마음/감정 관련이네" 같은 힌트를 줘요. ➡️ 이처럼 물과 관련된 한자들은 거의 다 ‘氵’(물 수)를 부수로 가져요. ✅ 사전에서 찾을 때 기준이 돼요 ▪️한자 사전은 부수 + 획수로 찾는 방식이 많아요. ✅ 같은 부수를 가진 한자끼리 묶여요 ▪️단어 외우기도 쉬워져요. 한자의 ‘부수’는 몇 개? 👉 총 214개입니다. 이건 중국 전통 ‘강희자전(康熙字典)’에서 정리된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. 일본도 이 기준을 그대로 따르고 있어요.📚 왜 214개? 한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