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군대에서는 효율적인 소통과 명확한 지휘를 위해 많은 전문 용어와 약어를 사용합니다. 군대 용어는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, 기본적인 용어 몇 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. 필승!
1. 기본적인 군사 용어
✔️ 군대 → 군, 부대
✔️ 육군 → 땅개
✔️ 해군 → 물개
✔️ 공군 → 날개
✔️ 해병대 → 빡빡이
✔️ 훈련소 → 훈련병들이 처음 가는 곳
✔️ 사단 → 여러 연대가 모여 있는 부대
✔️ 중대 → 소대 여러 개로 구성된 부대
✔️ 소대 → 군인의 기본 단위, 중대의 하위 조직
✔️ 소총수 → 일반 보병
✔️ 분대장 → 소대에서 몇 명을 담당하는 하급 간부
✔️ 총기 → 개인화기 (K2, K1, K3 등)
✔️ 탄약 → 총알
✔️ 훈련 → 군사 작전이나 전투 준비를 위한 연습
✔️ 경계 근무 → 부대 주변을 지키는 임무
✔️ GP(Guard Post) → 비무장지대 감시초소
✔️ GOP(General Outpost) → 일반 전초기지, DMZ 근처에 위치
✔️ PX(Post Exchange) → 군대 매점
✔️ 전역 → 군 복무를 마치고 나가는 것
✔️ 제대 → 예전에 쓰이던 표현으로, 현재는 "전역" 사용
2. 군대 계급
✅ 장교 (간부, 위관급 이상)
✔️ 대장 → 육군 최고 계급
✔️ 중장 → 사령관급
✔️ 소장 → 사단장급
✔️ 준장 → 여단장급
✔️ 대령 → 연대장급
✔️ 중령 → 대대장급
✔️ 소령 → 중대장급
✔️ 대위 → 중대 부중대장
✔️ 중위 → 소대장급
✔️ 소위 → 초임 장교
✅ 부사관 (하사 이상 간부)
✔️ 준위 → 특수기술 및 고경력 부사관
✔️ 원사 → 부사관 최고 계급
✔️ 상사 → 중대급 부사관
✔️ 중사 → 소대급 부사관
✔️ 하사 → 초임 부사관
✅ 병 (사병 계급)
✔️ 병장 → 가장 높은 사병 계급
✔️ 상병 → 병장의 바로 아래
✔️ 일병 → 신병 딱지를 뗀 상태
✔️ 이병 → 막 입대한 군인
3. 한국 군대 은어 & 속어
군대에서는 일반 사회에서 쓰이지 않는 독특한 은어가 많습니다.
✅ 훈련 & 생활 관련 은어
✔️ 똥개 훈련 → 이유 없이 반복되는 훈련
✔️ 뺑뺑이 → 무한 반복되는 훈련
✔️ 유격 → 가장 힘든 훈련 중 하나
✔️ 각개전투 → 개인 단위 전투 훈련
✔️ 기합 → 벌 받는 것 (팔굽혀펴기, PT체조 등)
✔️ 군장 → 군에서 짊어지는 장비
✔️ 군장점검 → 훈련 전 장비를 검사하는 것
✔️ 보급품 → 군에서 나오는 물품
✔️ 야간 행군 → 밤에 무거운 군장 메고 이동하는 훈련
✔️ 야전 취침 → 밖에서 자는 것
✅ 군대 내 생활 용어
✔️ 전투식량 (전투식) → 훈련 중 먹는 비상식량
✔️ 똥국 → 식당에서 나오는 맛없는 국
✔️ 고무링 → 군화 끈 정리용 고무줄
✔️ 각 잡다 → 깔끔하고 정리 정돈하는 것
✔️ PX병 → PX에서 일하는 병사
✔️ 행정병 → 서류 작업을 담당하는 병사
✔️ 취사병 → 군대에서 밥을 하는 병사
✔️ 군종병 → 종교 활동을 보조하는 병사
✔️ 의무병 → 군의관을 보조하는 병사
✔️ 병기병 → 무기를 담당하는 병사
✅ 군대식 인간관계 은어
✔️ 꼰대 → 지나치게 명령하는 선임
✔️ 고참 → 선임병
✔️ 구막사 → 고참들이 오랫동안 있는 생활관
✔️ 짬찌 → 신병, 계급이 낮은 병사
✔️ 짬밥 → 군대에서 먹는 밥 / 군 경험
✔️ 뺑이 → 힘든 일만 하는 병사
✔️ 꿀보직 → 편한 보직
✔️ 노예보직 → 일이 많은 힘든 보직
✔️ 빵꾸 → 업무를 잘못해서 생기는 실수
✔️ 손목시계 → 명령을 잘 수행하지 못하는 병사
✅ 전역 & 휴가 관련 은어
✔️ 전역을 달다 → 곧 전역을 앞둔 상태
✔️ 말년휴가 → 전역 직전의 마지막 휴가
✔️ 포상휴가 → 특별히 받는 보너스 휴가
✔️ 정기휴가 → 일정에 따라 주어지는 휴가
✔️ 황금마차 → 전역하는 날 타는 차 (가상의 개념)
✔️ 말년병장 → 전역 직전의 병장
✔️ 전역 D-DAY → 전역까지 남은 날짜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군사 계급 (한국, 미국 비교) (1) | 2024.09.28 |
---|---|
전세계 특수부대(Special Forces) 비교하기 (1) | 2024.09.28 |
문학적 기법 알아보기 (비유법, 강조법 등) (1) | 2024.09.27 |
귀납적 추론 Vs. 연역적 추론 (0) | 2024.09.27 |
문학적 기법, '도치법' (0) | 2024.09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