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양극재 3

배터리 핵심소재, 양극재

리튬이온배터리의 핵심소재 중 하나인 양극재는 무엇으로 만들까요? 양극재(Cathode)란 배터리의 (+) 극, 즉 양극을 이루는 소재를 말하며 리튬의 공급원으로 배터리의 용량과 평균 전압을 결정한다. 주 원료는 리튬, 니켈, 코발트, 그리고 망간입니다. 혼합물의 비율을 따질 때 보통 'NCM' (니켈-코발트-망간) 기준으로 많이 봅니다. 그래서 양극재 종류에 따라서 니켈:코발트:망간 비율이 1:1:1 인 것도 있고, '하이니켈' 양극재인 경우 대략 8:1:1 이기도 합니다. 리튬의 양은 무게로 따져보면 코발트의 1.5~3배 이렇게 되는 것 같습니다.  양극재 핵심 광물 중에 소위 '핵심 오브 핵심'은 무엇일까요? 양극재 원가 비중으로 따져보면 단연 리튬입니다. 양극재 원가의 60~70%를 차지하기 때문입..

산업정보 2024.03.07

배터리 소재 업체 경쟁

삼성SDI, LG에너지솔루션, SK온 등 2차 전지 배터리 업체들은 치열한 경쟁 중이다. 누가 더 효율적이고 안전한 배터리를 생산하느냐? 이를 누가 더 저렴하게 공급하느냐에 사운이 걸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. 그에 못지않게 배터리 핵심소재 분야도 여러 업체들이 소리 없는 전쟁을 치르고 있는데 주요 기업으로 포스코퓨처엠, LG화학, 에코프로, 엘엔에프가 대중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. 이들은 공통적으로 배터리 핵심소재 중 하나인 '양극재'를 생산한다. 양극재란 배터리의 (+) 극, 즉 양극을 이루는 소재를 말하며 리튬의 공급원으로 배터리의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한다. 근데 다 똑같은 양극재가 아닌가? 만약 아니라면 어떤 면에서 다른지 한번 알아보기로 한다. 포스코퓨처엠은 3가지 타입의 '하이니켈' 양극재..

산업정보 2024.03.07

2차 전지 배터리: 포스코퓨처엠

2차 전지 배터리 분야를 알려면 포스코퓨처엠(POSCO Future M)을 알면 된다. 포스코퓨처엠은 2차 전지 핵심 소재인 양극재(Cathode)와 음극재(Anode)를 생산한다. 두 소재가 전체 리튬이온 배터리 원가의 3분의 2를 차지할 만큼 중요하다. 양극재와 음극재는 전기차의 성능을 좌우하는 주행거리, 출력, 충전 속도, 배터리 수명 등을 결정한다.  양극재란 배터리의 (+) 극, 즉 양극을 이루는 소재를 말하며 리튬의 공급원으로 배터리의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한다. 음극재는 배터리의 (-) 극, 즉 음극을 이루는 소재를 말하며 양극에서 발생한 리튬이온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.  리튬이온 배터리 원가는 용도, 용량 등 사양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, 대략 500만 원에서 2,500만 원 사이로 추..

산업정보 2024.02.29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