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리튬이온배터리 3

배터리 4대 핵심소재: 전해액

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는 전해액입니다. 전해액은 리튬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매체로서, 전기분해 과정에서 이온 전도의 역할을 합니다. 이는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리튬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입니다​​. 전해액은 주로 리튬염, 용매, 그리고 첨가제로 구성됩니다. 리튬염은 리튬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, 가장 널리 사용되는 리튬염은 LiPF6입니다. 용매는 리튬염을 용해시켜 리튬이온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며, 대부분의 경우 카보네이트 계열의 화합물이 사용됩니다. 하지만 이러한 용매들은 인화성이 있어 화재 위험성이 있습니다. 첨가제는 전해액에 소량으로 포함되어 있으며, 배터리의 안전성과 성능을 향상시키기..

산업정보 2024.03.03

리튬이온 배터리 핵심소재: 분리막

리튬이온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을 좌우하는 여러 핵심 소재 중 하나가 바로 '분리막'입니다. 이 소재는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여, 두 전극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이온의 이동은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분리막이란? 분리막은 리튬이온 배터리 내에서 양극(+)과 음극(-) 사이에 위치하는 미세한 구멍이 있는 얇은 막입니다. 이 막은 주로 폴리에틸렌(PE)이나 폴리프로필렌(PP)과 같은 합성 고분자 재료로 만들어집니다. 분리막은 전자가 통과할 수 없도록 막아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하는 동시에, 리튬 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. 분리막의 중요성  ☑️ 안전성: 분리막은 배터리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직접적인 전극 간의 접촉을 막아주어 단..

산업정보 2024.03.03

음극재 생산이 어려운 이유

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양극재 생산에 적극적이다. 대표적으로 포스코퓨처엠 (관련 글: 2024.02.29 - [산업] - 2차 전지 배터리: 포스코퓨처엠), LG화학, 에코프로, 엘엔에프 등이 있다. 근데 아래 자료만 보더라도 국내 리튬이온 배터리 음극재를 생산하는 곳은 포스코 등 두 곳 뿐이다. 대주전자재료는 연매출이 불과 2,500억원 정도되는 중견기업이다. 다른 대기업이 음극재 생산에 뛰어들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? 음극재 원료를 보면 답을 알 수 있을 것 같다. 바로 ' '천연흑연' 과 '인조흑연'이다. 영어로는 'Graphite' 이라고 한다. 쉽게 설명하자면 1) 천연흑연은 구하기 어렵고 2) 인조흑연은 천연흑연보다 비싸며 3) 실리콘 등 대체자원은 흑연만 못하기 때문이다.   근데 포스코퓨처..

산업정보 2024.03.03
반응형